5장을 읽으며 ‘역참조(Dereference)’ 개념이 명확하게 와닿지 않았는데요. 역참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16쪽은 "해당 URI에 기반한 역참조를 통해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라고 제시합니다.
URI를 브라우저 상으로 검색할 때 URI에 해당되는 개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역참조인가요? 이렇게 생각하면 URI에 대한 정보를 인간이 읽을 수 있는 html로 제공해주는 내용 협상과 같다고(?) 생각되는데… 역참조가 무엇일까요?
116쪽에 따르면 ‘웹 게시자는 데이터 소비자가 데이터 출처로 돌아가는 방법을 찾고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HTTP URI를 제공해야 한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저는 이 문장에서 힌트를 얻어, 데이터 소비자가 웹 상에서 더 많은 정보를 탐색할 수 있도록 관련된 URI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일종의 연결된 체계로 이해했습니다.
질문하신 것처럼 URI를 브라우저 상으로 검색할 때 URI에 해당되는 개체에 대한 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일종의 역참조 기능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내용협상은 더 연결되고 넓은 탐색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리소스를 여러 버전에서 제공하는 것이라면, 역참조는 하나의 리소스에 대해 관련있는 다른 리소스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The act of retrieving a representation of a resource identified by a URI is known as dereferencing that URI. Applications, such as browsers, render the retrieved representation so that it can be perceived by a user.
Consequently, the act of creating a representation is simply a transformation of that information into an appropriate form. Often that transformation will include formatting that allows the rendered representation to be used conveniently by a Web user.
역참조는 URI로 식별된 자원의 표현 방식을 가져오는 동작이고, 웹 사용자에게는 그 표현 방식이 자원에 대한 정보가 담긴 html 문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형태겠군요.
그러나 @선은택 님이 말씀하신 "하나의 리소스에 관련있는 다른 리스소를 제공"이 어떤 말씀인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