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브라우저가 마이크로데이터, RDFa의 새로운 요소를 무시한다는 것은 어떤 뜻인가요?

101쪽을 보면,

웹 브라우저에서 마이크로데이터와 RDFa의 새로운 요소는 무시되기 때문에 웹 페이지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방문자는 새로운 변경 사항을 찾을 수 없다.

웹 브라우저가 마이크로데이터와 RDFa의 새로운 요소를 무시한다는 게 어떤 의미인가요?

마이크로데이터, RDFa의 요소와 값들이 HTML의 head, meta 안에 숨겨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무시한다’ 와 방문자는 변경사항을 찾을 수 없다고 설명하는 것인지 … 아니면 다른 의미가 있는 걸까요 ??

마이크로데이터와 RDFa는 W3C의 표준이 아니고, JSON-LD는 W3C의 권고안이기 때문에 무시하는 것이 아닐까요? 브라우저가 마이크로 데이터나 RDFa를 읽을 수는 있지만 표준이 아니므로 예외 처리를 하는 것이라 이해했습니다.

1개의 좋아요

아하 그래서 세 가지 방법인 마이크로데이터, RDFa, JSON-LD 중 마이크로데이터, RDFa 두 가지만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하는 거군요.
바로 다음 문단에 JSON-LD에 대해서만 '웹 친화적인 언어로 웹 페이지에 그대로 쓸 수 있다’고 설명하는 부분이 있더라구요…

덕분에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smile:

앗, 그런데 RDFa도 W3C recommendation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JSON-LD와 RDFa 모두 같은 표준 권고안인데, 웹 브라우저가 처리하는 방식은 왜 다를까요…??

흠… 그렇네요. 찾아봐도 잘 모르겠어서… 고수님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ㅠㅠ

구글은 JSON-LD 활용을 권장하는데, 이것과 관련이 있는 것일까요? 권장하는 이유는 밝혀져있진 않지만…

웹 브라우저에서 마이크로데이터와 RDFa의 새로운 요소는 무시되기 때문에 웹 페이지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방문자는 새로운 변경 사항을 찾을 수 없다.

질문에서 이미 설명했는데, HTML 페이지의 메타 태그에 포함된 정보는 사용자가 볼 수 없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메타 태그에 업데이트된 정보가 있어도, 사용자는 알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HTML에 메타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이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웹 브라우저도 표준을 어느 정도 (?)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데이터를 읽고 처리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웹 환경에서 우리가 얘기하는 표준은 대부분 'Standard’가 아닌 'Recommendation’일 수 있습니다. W3C는 표준보다 권고안이라고 합니다. 즉, 의무적으로? 강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권고한다는 의미인데, 웹에서 표준에 가까운 역할을 합니다.

이런 맥락으로 보면, RDFa, JSON-LD는 권고안이고, 마이크로데이터는 오픈 커뮤니티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아래 링크를 보면, 구글은 JSON-LD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크롬에선 JSON-LD가 처리가 잘 되겟죠). 익스플로러나 다른 브라우저에서 이런 부분이 처리되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The Microdata approach was originally the recommended one for SEO purposes, but Google’s JSON-LD support has improved in the past few years and now it is their recommended approach when possible.

  1. JSON-LD: JavaScript notation embedded in a tag in the page head or body. The markup is not interleaved with the user-visible text, which makes nested data items easier to express. Also, Google can read JSON-LD data when it is dynamically injected into the page’s contents, such as by JavaScript code or embedded widgets in your content management system.
  2. Microdata: An open-community HTML specification used to nest structured data within HTML content. Like RDFa, it uses HTML tag attributes to name the properties you want to expose as structured data. It is typically used in the page body, but can be used in the head.
  3. RDFa: An HTML5 extension that supports linked data by introducing HTML tag attributes that correspond to the user-visible content that you want to describe for search engines. RDFa is commonly used in both the head and body sections of the HTML page.

P.S: Google recommends using JSON-LD for structured data whenever possible.